Updated:

1 minute read

개요


기능

  • 둘다 오토 스케일링, 롤링 업데이트, 자가 복구 및 AWS 서비스와의 통합을 제공
  • 마이그레이션의 경우 EKS가 유리


성능

  • 비슷


가용성

  • 둘다 가용성이 높고 확장 가능
  • ECS는 EKS만큼 효율적이지는 않음


비용

  • 비슷한 가격 모델 제공
  • EKS가 제공하는 추가 기능 사용 여부에 따라 EKS가 비싸질 수 있음


네트워킹

  • EKS는 인스턴스당 750개의 파드 허용
  • ECS는 인스턴스당 120개의 작업 허용


사용 용이성

  • ECS는 더 복잡한 Kubernetes에 의존하는 EKS와 비교하여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는 데 많은 지식이 필요하지 않음
  • EKS에는 컨트롤 플레인이 있지만 ECS에는 없음


커뮤니티 지원

  • Kubernetes의 경우 오픈 소스 특성으로 인해 대규모 커뮤니티와 지원 가능하며 수많은 유용한 문서 및 사용 방법 가이드도 제공
  • ECS는 커뮤니티 지원이 Kubernetes만큼 강력하지는 않지만 AWS의 공식 지원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음


사용 사례

  • EKS
    • 복잡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해야 하는 경우
    • Kubernetes API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거나 기존 워크로드를 마이그레이션해야 하는 경우
    • 최신 기술을 제공하고 기술 세계의 최전선에 있도록 보장
    • 미래에 대비한 다용도 솔루션
  • ECS
    •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관리를 위한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솔루션이 필요한 경우
    • EKS가 제공하는 추가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
    • AWS에서만 작업하고 싶고 Kubernetes 학습에 투자할 전문 지식과 리소스가 제한된 경우
    •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, 배포 또는 Kubernetes로 마이그레이션할 시간이 없는 경우


참고 사이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