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pdated:

1 minute read

개요

  • 문자들의 집합
  • 큰따옴표 혹은 작은따옴표로 묶어서 표현
  • 덧셈 연산, 곱셈 연산, 인덱싱 연산, 슬라이싱 연산 가능
  • 리스트와 달리 일부 내용 변경 불가
  • 함수
    • len
      • 길이 반환
    • max
      • 가장 작은 값 반환
    • min
      • 가장 작은 값 반환
    • count
      • 인자로 전달된 문자열이 나타난 횟수 반환
    • find, rfind
      • 인자로 전달된 문자열을 찾아 있으면 해당 인덱스, 없으면 -1 반환
      • find는 앞에서 부터, rfind는 뒤에서 부터 탐색
    • lstrip, rstrip, strip
      • 각각 왼쪽, 오른쪽, 양쪽의 공백을 제거한 문자열 반환
    • upper
      • 대문자로 변환한 문자열 반환
    • lower
      • 소문자로 변환한 문자열 반환
    • replace
      • 첫 번째 인자를 두 번째 인자로 변환한 문자열 반환
    • split
      • 공백을 기준으로 나뉜 리스트 반환


예제

  • 코드
     if __name__ == "__main__":
         print("1 : ", "12" + '12')
         print("2 : ", "12" * 3)
        
         s = '1234567'
         print("3 : ", s[1])
         print("4 : ", s[2:5])
        
         print("5 : ", len("abc"))
         print("6 : ", max("abc"))
         print("7 : ", min("abc"))
        
         s = " ab C ab "
         print("8 : ", s.count("ab"))
         print("9 : ", s.find("ab"))
         print("10 : ", s.rfind("ab"))
         print("11 : ", s.rfind("0"))
         print("12 : (", s.lstrip(), ")")
         print("13 : (", s.rstrip(), ")")
         print("14 : (", s.strip(), ")")
         print("15 : ", s.upper())
         print("16 : ", s.lower())
         print("17 : ", s.replace("ab", "12"))
         print("18 : ", s.split())
        
         for c in 'abc':
             print("19 : ", c)
    
  • 실행 결과
     1 :  1212
     2 :  121212
     3 :  2
     4 :  345
     5 :  3
     6 :  c
     7 :  a
     8 :  2
     9 :  1
     10 :  6
     11 :  -1
     12 : ( ab C ab  )
     13 : (  ab C ab )
     14 : ( ab C ab )
     15 :   AB C AB
     16 :   ab c ab
     17 :   12 C 12
     18 :  ['ab', 'C', 'ab']
     19 :  a
     19 :  b
     19 :  c